정부가 지난 20년간 보령시민을 우롱한 것도 모자라 이제는 미래대비항만이라는 미명으로 보령신항 개발계획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현재는 제2차 신항만 건설기본계획에 의해 준설토 투기장을 천북면 학성리 일원에 조성하고 장래 항만시설을 위한 부지로 활용할 예정이라 한다.
보령신항의 여유로운 선석과 마리나시설, 크루즈 정박시설 조성 등 대규모 개발계획은 역대 대통령 후보와 도지사 후보들이 제시한 공약사항이었다. 1997년 김대중 대통령 후보의 공약인 전체 6개 신항만 중 부산신항, 평택(아산)항, 광양항, 포항영일만신항, 목포신외항 등 5개항은 완공됐으나 보령신항만 물동량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설계까지 마친 상황에서 IMF 사태 등 국가재정의 어려움으로 사업계획이 급격히 축소됐다.
1993년 충청권 신항만 개발 타당성 조사용역이 시작된 연도에 개발규모가 화물부두 20선석, 1998년 보령신항 실시설계시에는 화물 부두 11선석, 2001년 제2차 항만 기본계획에서는 화물부두9선석 2015년 보령신항 타당성 분석결과에서는 화물부두 2선석, 마리나 부두 300척 등 그동안 연구 용역 타당성 결과에 의해 나타난 개발규모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준설토 투기장과 관리부두 건설계획만을 제2차 신항만 건설기본계획에 반영했다. 사실상 보령신항 건설계획이 무산된 것이다.
이에 본의원은 보령신항 계획을 살리기 위해서 보령신항 건설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주제로 항만 전문가를 초청해 지난 6월 30일 의정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보령신항의 성공적 건설은 보령 시민의 오랜 숙원사업이자 염원이다. 충남도에서도 양승조 도지사의 해양건도를 성취하기 위해 적극 대응해야 한다. 이는 보령시만의 문제가 아닌 220만 충남도민의 자존심이 걸린 사안이기 때문이다.
보령시는 한때 인구가 16만 명이었던 적도 있지만 석탄합리화 조치 등으로 인구가 급감하면서 현재는 10만 600여명으로 10만명 선을 사수해야 한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게다가 보령화력 1.2호기의 금년 12월 폐쇄에 따라 지역경제가 더욱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중부발전은 지역의 대표 공기업으로서 직간접 고용인원만 4000여명에 달하고 가족까지 환산하면 1만여명이나 된다. 10만 인구를 사수하기 위해서라도 조기 폐쇄에 따른 후속대책 마련이 시급한 이유다.
보령신항의 성공적 건설만이 이러한 위기상황을 타파 할 수 있다. 2선석 확보와 마리나 항만이 포함된 다기능 복합항만으로 개발하고, 무엇보다 항만수요 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 보령시 물동량만으론 항만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다. 인근 홍성과 예산, 청양, 부여, 서천, 공주, 세종시 등 배후지역의 항만 물동량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충남도와 보령시, 지역 국회의원이 적극 나서 제2차 신항만건설 기본계획에 보령신항 건설사업이 포함될 수 있도록 추진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또 산업단지 및 기업과 연계한 대규모 화물선사를 유치하고 배후단지 및 해양문화공간 조성과 배후 교통망 개발을 연계해 추진하고 기반시설 준비도 철저히 해야 한다.
보령LNG 터미널에서 발생하는 냉매를 이용한 냉동,냉장 물류단지 조성을 적극 검토하고 스마트화, 자동화, 지능화, 안전화, 친환경화, 지역상생 등 최신 항만 트렌드를 반영한 신항만 개발계획도 병행 추진해야 한다.
보령신항 조기 건설만이 인구 절벽을 막고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 충남도와 보령시, 지역정치권 등 혼연일체가 되어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