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흠 충남도지사 당선인이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선 대안을 강조했다.
이는 김 당선자가 국회의원 당시 지역구인 보령화력발전소 1.2호기 조기폐쇄 결정과 관련 대안 우선을 강조했던 의지가 도정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힘쎈 충남 준비위원회는 24일 석탄화력발전 폐지 대응 방안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김태흠 당선인도 함께 참석한 가운데 석탄화력 폐쇄 지역 고용위기에 대한 강도 높은 대응과 대체 발전소 도내 건설, 수소 에너지 전환 가속화 등에 행정력 집중 투입을 주문했다.
김 당선인은 “기후변화 속 세계적인 추세인 탈석탄에는 동의하지만, 발전소 14기를 폐쇄하려면 대안부터 우선 마련했어야 한다”면서 “발전소 11기를 타 지역에 대체 건설하면, 현재 근무 중인 노동자들은 어디에서 어떤 일자리를 찾을 수 있겠나”라며 대체 발전소 도내 건설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석탄화력발전소로 인해 많은 도민이 좋지 않은 환경 속에서 오랜 기간 피해를 본 만큼, 응분의 보상이 필요하다는 김 당선자의 의지로 풀이되고 있다.
현재 추진 중인 정의로운 전환 기금과 관련 발전이 국가산업인 만큼, 도가 만들어 낼 것이 아니라 국가에 요구해야 한다는 것.
김 당선인은 이와 함께 “탈석탄의 대안은 결국 수소가 될 것이다. 수소 관련 TF를 조속히 구성해 탄소중립 및 수소전환과 연계한 중앙정부의 사업을 확보해 추진할 수 있도록 하자”면서 “전력수급기본계획 수정 작업을 할 때 도민들의 피해를 설명하고, 도내 대체 발전소 건설과 수소전환 등을 정리해 중앙정부에 전달 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도내 석탄화력발전소는 보령 8기, 당진 10기, 서천 1기, 태안 10기 등 29기로, 전국 57기의 절반을 넘고 있다.
도내 에너지 발전량은 전국의 22.9%로 1위에 달하며, 석탄화력 발전 비율은 전국의 48.5%로 역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도내 에너지 발전량의 48%는 외부로 보내고 있다.
도내 석탄화력발전소 폐쇄는 2020년 12월 2기에 이어, 2025년 4기, 2028년 1기, 2029년 3기, 2030년 2기, 2032년 2기 등이다.
/이찰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