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위기 충남행동 황성렬 공동대표가 ‘탄소중립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며 ‘충남에서부터 저항이 시작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황 대표는 22일 오전 11시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재수립’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해 “각 부분별 탄소 감축 계획과 연도별 계획들이 나와 있어야 한다. 이런 것들이 정확하게 나와야 우리가 걱정하고 있는 멸종의 위기에서 벗어나고 기후 위기에서 벗어나는 일이다. 하지만 이런 계획들이 전혀 없고 2030 NDC(온실가스 감축목표)에도 못 미치는 계획들이 들어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내용을 보면 산업 부문의 탄소 감축은 오히려 후퇴하고 있다. 산업체의 입장을 대변해 후퇴시켰다. 안소 감축이 안 된다면 해외 수출길이 꽉꽉 막혀버린다.”면서 “기후위기 해결을 떠나서라도 미래의 먹거리를 생각한다고 그러면 이러면 안 되는 것이다.”고 말했다.
또 “기업에서조차 요구하는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조차 못 맞추는 탄소중립 기본계획이 과연 필요한가? 전면 다시 만들어져야 된다.”면서 “충남도에서도 이미 용역을 맞춰 있고, 최종안 나오기 직전이다. 정부에서 계획을 하면 충남에서는 따라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될 것이다.”면서 충남 계획과 관련 별도 입장 발표를 예고했다.
황 대표는 “정부에서는 이번 각 산업단지 및 경제계획들을 발표했다. 특히 수도권에 반도체 클러스터를 굉장히 많이 배치를 하겠다고 한다. 여기에는 전기가 수반된다. 반도체 클러스터를 하기 위해 전기가 태안화력이나 당진화력만큼 필요하다. 하지만 그 전기를 수도권에 만들겠다는 계획은 전혀 없다.”면서 “(해당 전력은)충남에서 간다. 충남에서 만들어서 가게 돼 있다. 충남에서 공급받겠다는 것이 기본적으로 깔려 있다. 충남에서는 아무런 저항이나 대책이 없는 것도 사실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에서 2025년까지 탄소배출 감축 계획이 70만 톤이다. 그 이후에 감축 계획이 1억 6천만 톤이다. 이 정부에서 탄소 감축은 이후 정권에 넘기겠다는 것이고, 미래 세대에 넘기겠다는 것이다.”면서 “탄소중립 기본계획 저면 재검토가 없으면 충남에서부터 저항이 시작될 것이다.”고 예고했다.
/이찰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