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가 과거 매각한 사옥들의 토지가격이 평균 1.5배 증가해 헐값 매각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최인호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산 사하갑)이 LH로부터 받은 사옥 매각 현황 자료에 의하면 LH가 2009년부터 매각한 본사 및 지역본부 사옥은 총 15개다.
2005년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에 따라 LH는 2009년 서울본부, 2010년 경기본부, 2012년 전북.인천본부, 2013년 전북.충북본부, 2014년 구 토지공사 본사.광주본부, 2015년 대전.대구.강원.인천.부산본부, 2016년 경남본부, 2021년 전남본부 등 총 15개 사옥을 4,797억 원에 매각했다.
구 토지공사 본사(분당구)가 2,421억 원으로 비쌌고, 서울본부(강남구) 537억 원, 전남본부(광주 서구) 465억 원, 인천본부(남동구) 451억 원, 경기본부(수원시) 261억 원 순이다.
토지가격 비교를 위해 개별공시지가가 확인되는 14개 사옥을 비교해보니 2022년 개별공시지가 합계 금액은 3,201억 원으로 매각 당시 개별공시지가 합계 2,150억 원보다 1,052억 원(1.5배) 증가했다.
구 토지공사 본사가 538억 원(1,257→1,794억)으로 가장 많이 올랐고, 서울본부 267억 원(225→492억), 경기본부 45억 원(140→185억) 순이었다.
증가율로는 광주본부가 3.4배(6→21억)로 가장 높았고, 서울본부 2.2배(225→492억), 인천본부 1.9배(47→91억), 대구본부 1.7배(58→101억) 순이었다.
최인호 의원은 “공시지가가 시세의 70~80% 수준인 걸 감안하면 실제 건물가격은 더 올랐을 것이라고 판단된다”며 “당시 LH가 정부 눈치를 보며 국민의 재산인 공공기관 자산을 헐값에 매각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지난 7월 기재부는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확정하고 모든 공공기관의 자산을 매각하라고 지침을 내렸다.
LH는 경기본부(구 주택공사 본사) 사옥을 올해 10월 매각하겠다는 계획을 8월말에 기재부에 제출한 바 있다.
LH 경기본부에는 현재 1,130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으며 2022년 8월 감정평가 금액은 5,801억 원이다.
최 의원은 “직원들이 실제 근무하고 있는 사옥을 팔게 되면 새로운 사옥을 짓거나 임차해야 하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LH에 더 큰 재무적 부담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며, “공공기관 자산매각은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찰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