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천군이 5만 인구 회복을 위해 ‘주소 갖기 운동’을 다시 꺼내 들었다.
자연감소에 전입보다 전출이 많은 구조와 함께 지방소멸 위기 속에 ‘주소 갖기 운동’이 사실상 전시 행정이라는 지적과 실효성을 두고도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 ‘주소 갖기 운동’이 사실상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강제할 수 없다는 것과 함께 지방소멸 위기 시.군의 인구 유입 정책보다 인구 유지 및 정착에 대한 정책은 또 다른 과제로 안고 있는 대목에서다.
군은 지난 2013년 10만 인구 늘리기 T/F팀을 발대하고 ‘내 고장 주소 갖기 운동’을 전개하는가 하면, 2017년 ‘2022년 인구 5만선 붕괴’를 전망하기도 했다.
군은 4일 대회의실에서 열린 10월 월례모임에서 ‘서천군 인구 5만 회복을 위한 실천 결의대회’를 가졌다.
인구 5만 회복 실천을 위해 관외 주소를 둔 공직자부터 서천군 전입에 솔선수범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 자리에서 김기웅 군수는 “인구감소 위기 극복을 위해 맞춤형 전입 시책 발굴, 정주 여건 개선, 출산.돌봄 정책 마련, 생활 인구 확대 등 다양한 시책을 마련하여 인구 5만 회복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군은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지난 2월 민.관 인구감소대응위원회와 실무추진단을 구성해 인구 증가 시책 77개 사업을 발굴, 추진하고 있다.
한편, 서천군은 누리집을 통해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남 25,813명, 여 25,561명 등 총 51,374명의 인구수를 기록해 놓고 있다.
누리집 통계연보 등의 경우 2021년 12월 말 기준 남 26,046명, 여 25,969명 등 총 52,015명을 기록하고 있다.
또, 지난해 인구청년 정책보고회에서 2022년 9월 기준 50,139명으로 밝힌바 있다.
/이찰우 기자